-
[ 목차 ]
2025년부터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기준이 대폭 상향되면서 더 많은 어르신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변경은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노후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단독가구 기준 월 228만 원, 부부가구 기준 월 364만 8,000원 이하의 소득인정액을 충족하면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변경된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기준과 주요 변경 사항, 그리고 신청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기준
기초연금은 노후 생활의 중요한 경제적 지원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소득인정액 기준이 단독가구 월 228만 원, 부부가구 월 364만 8,00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 대비 약 7% 상승한 수치로, 더 많은 노인 가구가 수급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득인정액 계산법
소득인정액은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 소득평가액: 근로·사업·연금 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한 후 산정
- 재산의 소득환산액: 일반재산과 금융재산에서 공제액을 제외한 후 환산
예를 들어, 근로소득은 112만 원까지 공제 후 나머지 금액의 70%만 소득으로 산정되며, 금융재산은 2,000만 원 공제 후 잔액을 월 소득으로 환산합니다.
주요 변경 사항
2025년에는 기초연금의 소득인정액 기준뿐 아니라 여러 제도적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교육비·의료비 공제 확대
기존에는 동거 가족의 교육비와 의료비만 공제 가능했으나, 이제는 비동거 직계존비속까지 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 수급희망 이력관리제 개선
기존에는 기초연금 수급 후 이력관리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나, 앞으로는 수급 여부와 상관없이 5년 동안 관리가 지속됩니다. -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경찰 확인서 등을 통해 사실혼 해제 여부를 인정받은 경우,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신청 방법
기초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청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 신청 장소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국민연금공단 지사
- 복지로
- 신청 시기
만 65세 생일 한 달 전부터 신청 가능하며, 이후 급여를 지급받습니다. - 거동 불편 시
국민연금공단의 '찾아뵙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결론: 2025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을 꼭 확인하세요
2025년은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기준이 대폭 완화되는 해입니다. 노후를 안정적으로 준비하고 싶다면, 기초연금의 변경 사항을 꼼꼼히 확인하고 수급 자격을 충족할 경우 빠르게 신청하세요. 이로써 경제적 부담을 덜고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문의: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 ☎ 1355
'정책&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국세청이 알려주는 절세 포인트 완벽 정리! (5) | 2025.01.03 |
---|---|
모두의보훈드림: 기부의 시작, 국가유공자의 삶에 힘을 더하다 (2) | 2025.01.02 |
2025년 달라지는 것들: 최저시급·중위소득·복지제도 총정리 (0) | 2024.12.30 |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최대 1,200만 원 지원 (0) | 2024.12.29 |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확대와 신청기간 총정리! 수익률 최대 9.54% (1) | 2024.12.26 |